맨위로가기

고시베리아 제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시베리아 제어는 시베리아 지역에서 사용되는 소멸 위기의 언어들을 묶어 놓은 가설적 언어 분류이다. 축치캄차카어족, 니브흐어, 유카기르어족, 예니세이어족 등이 이에 속하며, 이들은 형태론적, 유형론적, 어휘적 증거를 바탕으로 다양한 언어족과의 연관성이 제기된다. 특히 예니세이어족은 나데네어족과, 축치캄차카어족과 니브흐어는 축치-캄차달-아무르어족으로 묶이기도 한다. 또한, 한국어와 니브흐어 간의 유사성이 고대 접촉에 의한 것이라는 연구도 존재한다. Y-DNA 분석 결과, 각 언어 집단은 특정 하플로그룹에서 높은 비율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시베리아 제어 - 유카기르어족
    유카기르어족은 시베리아 북동부에서 사용되었던 언어들의 어족으로, 현재는 북부와 남부 유카기르어 두 방언이 존재하며, 우랄어족과의 관련성이 제기되고 교착어의 문법적 특징을 보인다.
  • 고시베리아 제어 - 축치캄차카어족
    축치캄차카어족은 축치어, 추코트어, 캄차카어 등으로 불리며 축치어파와 캄차카어파로 나뉘고, 이텔멘어만이 현존하며 여러 가설을 통해 다른 어족과의 관계가 연구된다.
고시베리아 제어
언어 정보
이름고시베리아 제어
분류 기준지리적
지역시베리아
유형여러 어족의 집합
하위 어족축치・캄차카어족
니브흐어
유카기르어족
에니세이어족
(에스키모・알류트어족)
(아이누어)
시베리아의 고시베리아 제어 분포도
1600년대 고시베리아 제어 분포도

2. 분류

고시베리아 제어는 크게 4개의 소규모 어족 및 고립어로 분류된다.[1]



이들은 모두 사멸 위기에 처해 있거나 이미 사멸하였는데, 그나마 현재 화자 수가 가장 많은 것은 축치캄차카어이다.[1]

마이클 포튜스큐는 축치캄차카어족니브흐어가 축치캄차카 아무르어족을 형성한다고 제안했으며,[2] 에드워드 바이다는 예니세이어족나데네어족과 관련이 있어 데네-예니세이어족을 제안한다.[3][4]

김방한은 삼국사기 지명 표기가 한국어와 일본어 형성의 구성 요소이며, 니브흐어와 관련이 있다고 제안했다.[5][6][7] 유하 얀후넨한국어족니브흐어의 유사한 자음 폐쇄 시스템이 고대 접촉 때문일 수 있다고 제안하며,[8] 마르틴 로베츠는 한국 조어가 니브흐어의 기질적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한다.[9]

오브우그르어족과 사모예드어족은 우랄어족에 속하므로 고시베리아 제어에 포함되지 않는다. 유카기르어는 우랄-유카기르어족의 일부로 우랄어족의 더 먼 친척으로 제안되기도 한다.[11]

2. 1. 축치캄차카어족

'''축치캄차카어족'''(Chukotko-Kamchatkan)은 루오라베틀란이라고도 하며, 축치어, 코랴크어, 알류토르어, 케레크어를 포함한다. 이텔멘어(Itelmen)는 캄차달어라고도 하며, 축치캄차카어족과 멀리 연관되어 있다.[1] 축치어는 수천 명이 사용하며, 코랴크어 및 알류토르어는 수백 명의 공동체에서 사용된다. 이들은 시베리아 최동부에서 사용된다. 케레크어는 사멸되었고, 이텔멘어는 현재 캄차카 반도 서해안에서 주로 노인층을 포함하여 5명 미만의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다.[1]

마이클 포튜스큐(Michael Fortescue)는 형태론적, 유형론적, 어휘적 증거를 바탕으로 축치캄차카어족과 니브흐어(아무르어)가 관련되어 더 큰 ''축치캄차카 아무르어족(Chukotko-Kamchatkan–Amuric)'' 언어족을 형성한다고 제안한다.[2]

추코트 반도나 캄차카 반도 등 시베리아 동쪽 끝 부분에서 사용된다. 추크치어, 코랴크어, 알류토리‎어, 케레크어이텔멘어(캄차달어)가 여기 속한다. 이텔멘어(캄차달어)는 별계라는 설도 있다. 화자는 모두 수천 명 이하이다. 케레크어는 멸종되었으며, 캄차달어도 화자가 100명 이하로 줄어들었다.

언어화자년도
축치어5,1002010
코랴크어1,6702010
이텔멘어 (캄차달어)822010
알류토르어252010
케레크어0


2. 2. 니브흐어

니브흐어아무르강 하류 유역과 사할린 섬 북부 절반에서 사용되는 2~3개의 언어로 구성되어 있다. 최근 현대 문학이 있다.

유하 얀후넨한국어니브흐어 간의 파열음 음운의 일치성이 고대의 접촉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있다고 제시하였다.[35]

2. 3. 예니세이어족

예니세이어족은 한때 예니세이강 중류와 그 지류에서 사용되었던 작은 어족이었지만, 현재는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투루한스크 지역에서 200명 이하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케트어로만 대표된다.[1] 유그어 등 몇 개의 언어(사어)와 함께 작은 어족을 이루고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2008년 에드워드 바이다는 예니세이어족나데네어족(알래스카·캐나다에서 사용되는 트링깃어, 이야크어, 아사바스카어족 포함)이 동계통임을 밝혔다. 이는 동사 형태론과 음운 비교에 따른 엄밀한 방법론에 근거한 것으로, 많은 언어학자들로부터 지지를 받아 이 두 어족을 합친 데네예니세이어족이 제안되고 있다.

언어화자년도어족
케트어2102010예니세이어족
유그어0예니세이어족


2. 4. 유카기르어족

유카기르어족은 시베리아 북동부 콜리마강인디기르카강 하류에서 사용되는 두 개의 언어로 구성되어 있다.[1] 추반어를 포함하여 내륙 및 동쪽에서 사용되던 다른 언어는 현재 사멸되었다.[1] 유카기르어는 일부 학자들에 의해 우랄어족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진다.[1]


3. 기타

학자에 따라 에스키모알류트어족이나 아이누어를 고시베리아 제어의 일종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유하 얀후넨(J. Janhunen)은 한국어와 니브흐어 간의 파열음 음운의 일치성이 고대의 접촉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있다고 제시하였다.[35]

알렉산더 보빈유연 민족이 사용한 유연어(Ruanruan language)에서 알타이적 특징이 보이지 않는다며 튀르크어의 일부 어휘에 영향을 주고 사멸한 고시베리아 제어의 일종일 가능성을 제기하였으나,[36][37] 이후 철회하고 몽골어족으로 분류하였다.[38]

4. 다른 어족과의 관계

학자에 따라 에스키모알류트어족이나 아이누어를 고시베리아 제어의 일종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고시베리아 제어는 실용적인 목적으로 북동 유라시아의 다양한 언어 고립어들을 묶기 위한 편의적 분류로 남아있다.

유하 얀후넨(J. Janhunen)은 한국어와 니브흐어 간의 파열음 음운의 일치성이 고대의 접촉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있다고 제시하였다.[35]

알렉산더 보빈유연 민족이 사용한 유연어(Ruanruan language)에서 알타이적 특징이 보이지 않는다며 튀르크어의 일부 어휘에 영향을 주고 사멸한 고시베리아 제어의 일종일 가능성을 제기하였으나,[36][37] 이후 철회하고 몽골어족으로 분류하였다.[38]

일부 학자들은 고시베리아 어군 내 언어들의 관계에 대한 제안을 했는데, 그중 에드워드 바이다(Edward Vajda)는 이 언어들이 나데네어족(Na-Dené)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한다.

김방한은 삼국사기 지명 표기가 한반도의 원래 언어를 반영하며 한국어와 일본어 형성의 구성 요소라고 주장했다. 이 언어는 어떤 형태로든 니브흐어와 관련이 있다고 제안되었다.[5][6][7]

마르틴 로베츠(Martine Robbeets)는 한국 조어가 니브흐어의 기질적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하며, 한국어족과 니브흐어 사이의 통사론적 공통점이 관찰되었다고 하였다.[9]

오브우그르어족(Ob-Ugric)과 사모예드어족(Samoyedic)은 우랄어족(Uralic)에 속하므로 고시베리아 제어에 포함되지 않는다. 유카기르어는 우랄-유카기르어족(Uralic-Yukaghir)의 일부로 우랄어족의 더 먼 친척으로 자주 제안되어 왔다.[11]

고시베리아 제어의 어족과 민족 집단의 Y-DNA
민족 집단어족가설 단계의 어족민족 집단의 Y-DNA (%)
N-TatC2-M217Q출처
Q-M3
축치인축치-캄차달어족축치-캄차달-아무르어족58.34.212.5[25]
코랴크인22.233.359.2[26][25]
니브흐인니브흐어1.9717.7[27]


4. 1. 데네-예니세이어족 가설

에드워드 바이다(Edward Vajda)는 케트어를 포함하는 예니세이어족이 북아메리카의 나데네어족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다.[3] 데네-예니세이어족(Dené–Yeniseian)은 "전통적인 비교-역사 언어학의 기준을 충족하는 구세계와 신세계 언어족 간의 최초의 언어 계통(genetic relationship) 증명"이라고 불렸다.[4] 과거에는 시노-티베트어족(Sino-Tibetan), 북캅카스어족(North Caucasian), 부루샤스키어(Burushaski)와의 연관성을 찾으려는 시도도 있었다.

2008년 에드워드 바이다는 예니세이어족나데네어족(알래스카·캐나다에서 사용되는 트링깃어, 이야크어, 아사바스카어족 포함)이 같은 계통임을 밝혔다. 이는 동사 형태론과 음운 비교를 통한 엄밀한 방법론에 근거한 것으로, 많은 언어학자들의 지지를 받아 이 두 어족을 합친 데네예니세이어족이 제안되었다.

고시베리아 제어의 어족과 민족 집단의 Y-DNA
민족 집단어족가설 단계의 어족민족 집단의 Y-DNA (%)
N-TatC2-M217Q출처
Q-M3
케트인예니세이어족데네-예니세이어족~6.2[28]93.7[29]
아사바스카인나데네어족~11.5[28]70.4[30]


4. 2. 우랄-유카기르어족 및 우랄-시베리아어족 가설

유하 얀후넨(Juha Janhunen)은 우랄어족(Uralic)과 유카기르어(Yukaghir)가 함께 우랄-유카기르어족(Uralic-Yukaghir)을 형성한다고 제안했다.[11] 또한 우랄어족, 유카기르어, 에스키모-알류트어족(Eskimo–Aleut)을 포함하는 우랄-시베리아어족(Uralo-Siberian) 가설도 제안되었다.[11] 그러나 이러한 가설들은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지는 않는다.

고시베리아 제어의 어족과 민족 집단의 Y-DNA
민족 집단어족가설 단계의 어족민족 집단의 Y-DNA (%)
N-TatC2-M217Q
Q-M3
핀족우랄어족우랄-유카기르어족우랄-시베리아어족61[23]
유카기르인유카기르어족313131[24]
유픽인에스키모-알류트어족60.6021.2[25]


4. 3. 축치-캄차달-아무르어족 가설

마이클 포튜스큐는 형태론적, 유형론적, 어휘적 증거를 바탕으로 축치-캄차달어족과 니브흐어(아무르어)가 관련되어 더 큰 축치-캄차달-아무르어족 언어족을 형성한다고 제안한다.[2] 포튜스큐는 예니세이어족유카기르어족은 축치-캄차달-아무르어족과 유전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보지 않는다.[2]

4. 4. 한국어와의 관계

유하 얀후넨(J. Janhunen)은 한국어와 니브흐어 간의 파열음 음운의 일치성이 고대의 접촉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있다고 제시하였다.[35]

김방한은 삼국사기 지명 표기가 한반도의 원래 언어를 반영하며 한국어와 일본어 형성의 구성 요소라고 주장했다. 이 언어는 어떤 형태로든 니브흐어와 관련이 있다고 제안되었다.[5][6][7]

얀후넨은 한국어족과 니브흐어의 유사한 자음 폐쇄 시스템이 고대 접촉 때문일 수 있다고 제안한다.[8] 마르틴 로베츠(Martine Robbeets)는 한국 조어가 니브흐어의 기질적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한다. 음운 체계의 추가적인 유사 발전(고대 한국어에서 중세 한국어로, 그리고 조어 니브흐어에서 니브흐어로), 특히 한국어족과 니브흐어 사이의 통사론적 공통점이 관찰되었다.[9] 알렉산더 보빈은 알타이어족 분류에 대한 비판에서 한국어가 몇 가지 중요한 측면(즉, 음운론, 동사 결합 대 복합어, 형용사를 명사가 아닌 동사로 사용)에서 다른 고시베리아 언어와 유사점을 공유한다고 제안했다.[10]

5. 어휘 비교


  • ʔadᶻmis[12]는 원시 예니세이어로 '나'를 뜻한다. *mȣ̈mis[13]는 원시 우랄어, *uvaŋamis; (*vi)[14]는 원시 에스키모어, *mətmis[15]는 원시 유카기르어, *kəmmis[16]은 원시 추코트카어, *n’imis[17][21]는 원시 니브흐어, *na/uri[18][19]는 원시 한국어, *ku=ain[20]는 원시 아이누어, kuaniain[21]아이누어, *bàn[u][22]는 원시 일본어를 나타낸다.

6. Y-DNA 하플로그룹

고시베리아 제어의 어족과 민족 집단의 Y-DNA
민족 집단어족가설 단계의 어족민족 집단의 Y-DNA (%)
N-TatC2-M217Q출처
Q-M3
핀족우랄어족우랄-유카기르어족우랄-시베리아어족61[23]
유카기르인유카기르어족313131[24]
유픽인에스키모-알류트어족60.6021.2[25]
축치인축치-캄차달어족축치-캄차달-아무르어족58.34.212.5[25]
코랴크인22.233.359.2[26][25]
니브흐인니브흐어1.9717.7[27]
케트인예니세이어족데네-예니세이어족~6.2[28]93.7[29]
아사바스카인나데네어족~11.5[28]70.4[30]


참조

[1] 서적 A Glossary of Historical Linguistics Edinburgh University Press
[2] 간행물 The relationship of Nivkh to Chukotko-Kamchatkan revisited
[3] 웹사이트 The Dene–Yeniseian Connection http://www.uaf.edu/a[...] Alaska Native Language Center
[4] 문서 Why the Dene-Yeniseic Hypothesis is Exciting Fairbanks and Anchorage, Alaska: Dene-Yeniseic Symposium 2008
[5] 웹사이트 원시한반도어 (原始韓半島語) http://encykorea.aks[...] 2019-09-18
[6] 웹사이트 Nivkh Loanwords in Japanese and Korean (English) https://www.academia[...]
[7] 서적 Koguryo, the Language of Japan's Continental Relatives BRILL
[8] 간행물 Reconstructio externa linguae Ghiliacorum https://journal.fi/s[...] 2020-05-15
[9] 웹사이트 A Chronological Sketch of the Amuro-Koreanic Parallelism [slides] https://www.academia[...]
[10] 문서 Korean as a Paleosiberian Language. https://www.academia[...] 2015
[11] 서적 Language Relations across Bering Strait: Reappraising the Archaeological and Linguistic Evidence. London and New York: Cassell 1998
[12] 문서 Proto-Yeniseian Reconstructions, with Extra-Yeniseian Comparisons https://www.research[...]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4
[13] 웹사이트 Uralic Etymological Database http://www.uralonet.[...]
[14] 서적 Comparative Eskimo Dictionary with Aleut Cognates Fairbanks, Alaska: Alaska Native Language Center, University of Alaska, Fairbanks 1994
[15] 서적 A Historical Dictionary of Yukaghir Berlin/New York: Mouton de Gruyter 2006
[16] 서적 Comparative Chukotko–Kamchatkan Dictionary Berlin: Mouton de Gruyter 2005
[17] 서적 Comparative Nivkh Dictionary Munich: Lincom Europa 2016
[18] 학위논문 Proto-Korean–Japanese: A new reconstruction of the common origin of the Japanese and Korean languages Ohio State University 2016
[19] 서적 The Languages of Japan and Korea Routledge
[20] 서적 A Reconstruction of Proto-Ainu Leiden: Brill 1993
[21] 간행물 NorthEuraLex: a wide-coverage lexical database of Northern Eurasia https://doi.org/10.1[...] 2020
[22] 간행물 Long-distance Relationships, Reconstruction Methodology, and the Origins of Japanese 1994
[23] 간행물 Regional differences among the Finns: A Y-chromosomal perspective 2006
[24] 간행물 Investigating the Prehistory of Tungusic Peoples of Siberia and the Amur-Ussuri Region with Complete mtDNA Genome Sequences and Y-chromosomal Markers 2013
[25] 간행물 The dual origin and Siberian affinities of Native American Y chromosomes. https://www.ncbi.nlm[...] 2002
[26] 문서 C-M48(C-M217の下位)が33.3%、C-RPSY4(C-M217の上位)が25.9%
[27] 문서 "СТРУКТУРА И ФИЛОГЕОГРАФИЯ ГЕНОФОНДА КОРЕННОГО НАСЕЛЕНИЯ СИБИРИ ПО МАРКЕРАМ Y-ХРОМОСОМЫ," http://www.medgeneti[...]
[28] 문서 C全体
[29] 간행물 The western and eastern roots of the Saami--the story of genetic "outliers" told by mitochondrial DNA and Y chromosomes. 2004
[30] 간행물 Distribution of Y chromosomes among native North Americans: a study of Athapaskan population history. 2008
[31] 서적 Reisen und Forschungen im Amur-landes in den Jahren 1854-56,Band III――Die Völker des Amur-landes St.Petersburg 1895
[32] 서적 Aboriginal Siberia Oxford 1914
[33] 서적 Peoples of Asiatic Russia 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1928
[34] 서적 古代東北アジア史研究
[35] 문서 Reconstructio externa linguae Ghiliacorum https://journal.fi/s[...] 2016
[36] 간행물 Once Again on the Ruan-ruan Language 2010
[37] 간행물 Some Thoughts on the Origins of the Old Turkic 12-Year Animal Cycle 2004
[38] 저널 A Sketch of the Earliest Mongolic Language: the Brāhmī Bugut and Khüis Tolgoi Inscriptions https://www.academia[...] 2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